오늘 배운 내용 잊기 전에 적어두기
내일 일정상 정말 간단하게만 적기 (기록용)
1) 키와 값
{ "key" : "value" }
= 디렉터리 구조라고 하며, JSON과 같은 게 아니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 이는 내가 질문한 부분이었는데,
강의에서 디렉터리 구조와 JSON의 설명을 듣고 같은 것이라 이해했기 때문이었다.
2) [ ]안에 들어간 값이 왜 오류를 일으킬지 생각해보자.
test1> db['yest24'].insert_one: 컬렉션생성되어 값 들어감
test2> db.yest24.insert_one: 컬렉션 생성되어 값 들어감
test3> db[yest24].insert_one: yest24가 정의 되지않음. ("yest24" is not defined)
= 왜 안되었을까?
대괄호 안에는 변수가 들어가야 한다. (특정 텍스트 값으로 들어가거나, 변수 정의를 해줘야 함)
yest24 = "yest24"
test3> db[yest24].insert_one:
로 고쳐야 한다.
3) 몽고DB의 역할
몽고 DB란 브릿지, 즉 중간다리의 역할을 한다. 이게 없다면 우리가 일일히 입력해서 적용시켜야 한다.
그래서 DB에 맞는 각각의 브릿지를 찾아쓰면 된다.
(ex. 몽고DB - pymongo)
4) 보안적인 부분이 있으므로 db에 비번 설정하기
일단 실습할 때는 없이 했지만, 이렇게 계속 진행할 경우
ip주소만 알면 db를 볼 수 있게 되므로 보안상 위험하기 때문이다.
5) 코드에서의 =, ==
==이 우리가 아는 = (같다)의 의미이다.
6) 패키지가 라이브러리에 있는 것이다.
이건 우리 스터디원분이 설명해주신 주석과 첨부본이다.
나중에 보고 다시 정리하자.

오늘의 소감 ✍️
역시나 스터디를 하면 늘 얻어가는 것이 많고,
특히 조교님이 일부러 한 명씩 모두가 질문할 수 있도록 하신게 너무 도움이 많이 되었다.
처음에는 질문을 정말 막해도 된다는 말씀에 설마? 싶었는데,
이런 질문을 해도 되나 싶은 아주 기초적인 부분이나, 코딩을 하면서 들었던 의문점 같은 부분들을
대충 답하시지도 않고 만약 못 알아들었으면 여러번 설명해주신다.
그 덕에 처음 코딩을 따라치기만 급급했던 부분에서 생각을 하고 코딩을 해야한다는 말에 좀 더 집중하고
따라가보려고 노력하고 있다. 더 나아가기를!
'[부트캠프] IT 코딩 부트캠프 후기 > [Let's TIL😶🌫️] FastCamp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Let's TIL✍️] 코딩 18 : 4 Week _ 서버 만들기 (1) & 스터디 (0) | 2022.08.31 |
---|---|
[Let's TIL✍️] 코딩 18 : 3 Week_ 자율학습 (VScode & Pycharm) (0) | 2022.08.31 |
[Let's TIL✍️] 코딩 18 : 3 Week _ 서버 만들기 (0) | 2022.08.26 |
[Let's TIL✍️] 코딩 18 : 3 Week _ 서버 만들기 | 웹 스크래핑 (0) | 2022.08.25 |
[Let's TIL✍️] 코딩 18 : 3 Week _ 파이썬 기초 (0) | 2022.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