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트캠프] IT 코딩 부트캠프 후기/[Let's TIL🚴‍♀️] CodingON

[Server서버] NCP 서버 구축하기 (Naver Cloud Platform)

서버

: 클라이언트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서버 한 대로 여러 명의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데이터 요청에 대한 내용 전송)이 가능하다 

 

이론상 무한으로 가능 (단 서버 용량등으로 제한이 생기긴 함)

 

 

서버 구축 방법 

 

1. 본인의 컴퓨터를 직접 서버로 구축

(함부로 서버를 열면 해킹이나 바이러스 등이 공격 할 수 있으므로 추천하지 않음)

 

2. 일정 요금을 내고 외부 서버를 임대해 사용하는 방법

- 서버 호스팅, 웹 호스팅

 

2-1 서버 호스팅 (땅을 사는 거)

: 서버 한대(물리적 컴퓨터 하나)를 통째로 임대

- 장점 : 내 맘대로 사용이 가능
- 단점 가격이 웹호스팅에 비해 비쌈

 

2-2 웹 호스팅 (아파트에 들어가는 것)

: 서버 한대(물리적 컴퓨터)의 일정 저장 공간 만을 임대하여 다른 사용자들과 해당서버 공유

- 장점 : 서버 호스팅에 비해 저렴
- 단점 : 용량에 제한

 

 

따라서, 우리는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여 만들 것이다. 

 

- vm(가상환경)의 컴퓨터를 사용한다
- 프로그램으로 가상환경의 컴퓨터(서버)를 하나 생성해 이용
- 이론상 저장공간 무한, 접속량이 많아도 다운되지 않는 서버를 만들 수 있다. 

 

BUT 이러한 서버를 운영하는 곳에서 보통 빌려 사용한다. 

 


클라우드 모델  3가지 유형

 

- 퍼블릭 클라우드 : 소유는 공급자가 갖고 있고 누구나 접근 가능 (ex. AWS)

- 프라이빗 클라우드 : 기업 내부에서만 접근할 수 있도록 내부환경 만드는 것 (외부사용자는 접근 X)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 퍼블릭과 프라이빗의 결합 

 

 

이용할 퍼블릭 클라우드는 바로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NAVER CLOUD PLATFORM

cloud computing services for corporations, IaaS, PaaS, SaaS, with Global region and Security Technology Certification

www.ncloud.com

장점 : 사용이 쉬움 , 첫 가입자에게 10만원 상당 크레딧을 줌 , 서버는 1년 무료 (마이크로 단위의 경우)

내가 가입한 날부터 크레딧을 계산하기 시작한다.
이거는 굳이 제대로 작성 안해도 된다고 한다.
1년간 마이크로가 무료!

 

이제 가입이 끝났다면, 콘솔 들어가서 서버를 생성하자.

 

클래식으로 변경 후 마이크로 서버 생성
우분투 이용하기

 

zone은 서버 위치 (korea)
스토리지 HDD
서버 타입은 마이크로 
서버 이름은 자유롭게 
반납보호는 해도 되고 안해도 된다. 단 해둔다면 반납시 따로 해제를 해줘야 한다!

 

매우 중요한 인증키

 

port는 문 같은 것이다. 열려있지 않으면 못들어가는게 일반적

http 서버는 80port가 기본
https 서버는 443port가 기본
즉 https://~~~하고 :443 붙이면 현재페이지로 돌아오게 된다.

 

80은 웹페이지 접속 기본 포트, 파일 옮기는 포트는 22번 포트(서버로 접속)

 

80은 웹페이지 접속 기본 포트, 파일 옮기는 포트는 22번 포트(서버로 접속)

 

 

생각보다 시간이 좀 더 걸린다. AWS에 비해서는 오래걸리는 편이긴하다.


 

다음은 putty 설치하기

 

Download PuTTY: latest release (0.78)

This page contains download links for the latest released version of PuTTY. Currently this is 0.78, released on 2022-10-29. When new releases come out, this page will update to contain the latest, so this is a good page to bookmark or link to. Alternativel

www.chiark.greenend.org.uk

64비트 중간 부분 클릭

 

파일질라 설치

https://filezilla-project.org/download.php?platform=win64#close

여기서 첫번째 filezila 다운

이제 서버가 생성되었다면 (운영중),

아이피 신청하기 

아이피를 신청하고 나면
내가 만든 서버에 할당해야 한다!

 

putty에 공인 ip 적고 들어가서 

 

 

로그인에 root 적은 뒤, 관리자 비밀번호 확인 후(pem파일 업로드)

putty에 패스워드 입력 (한 글자라도 틀리면 작동 안되니 주의)

여기서 관리자 비밀번호에 pem을 올리면 나오는 게 패스워드

 

잘 들어가지면

putty에 passwd 입력하여 새로운 비번으로 변경

 

주의사항 : 공인 ip만 공유, 비공인 ip는 공유하지 않기 xx 

 


이제 웹 서버를 설치해야한다. (웹에서 동작하는 컴퓨터)

ex 아파치, 엔진엑스 등등

 

apache는 오래됐기 때문에 모든 os에 돌아가나, 무겁다는 단점이 있긴하다. 

실제 기업에서는 사용하지 않지만 연습용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Welcome! - The Apache HTTP Server Project

The Number One HTTP Server On The Internet The Apache HTTP Server Project is an effort to develop and maintain an open-source HTTP server for modern operating systems including UNIX and Windows. The goal of this project is to provide a secure, efficient an

httpd.apache.org

 

이때 간략한 순서

 

Filezila

filezila에서 - 왼쪽 상단의 파일 클릭 - 새로운 관리자(s) 들어가서 새로운 사이트(n) 만들기

이때 이름은 아무거나 해도 된다. 공인 ip 잘 적고 비밀번호도 putty에서 바꾼 걸로 넣어주자.

 

putty

putty에서 아파치 연결하기 

apt-get update 하고 

apt-get install apache2 입력하면 아파치 깔기 완료

 

그 다음

/var/www/html

여기에서 index.html을 확인하면 정상 작동

 

인덱스를 열면 보이는 우분투 페이지

 

이제 index.html 다운 후 수정이 가능하다. 

단, 덮어쓸때는 파일질라에서 해줘야 한다.
파일을 볼 때는 /gif 이런식으로 볼 수 있음

 


IP란? 

인터넷 프로토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약속, 통신규약)

IP주소는 . 으로 구분

 

공인 IP 와 사설 IP

공인 IP (외부 공개, 접속 가능)
사설 IP (외부 접근 x , 기업 네트워크 등)

 

유동 IP와 고정 IP 

유동 IP (기기를 껐다키면 유동적으로 ip 할당 ex. 와이파이 공유기)
고정 IP (직접 ip주소 설정 -- 한번 부여받으면 반납전까지 계속 ex. 클라우드에서 만든 ip)

 

 

도메인(domain)

- 웹을 통해 특정 사이트에 진입시, IP주소를 대신해 사용하는 주소 

- ip주소를 보다 분명히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다. 

ex. cafe24 등등

 

DNS

- Domain name system

- 이 시스템을 이용해 등록을 해야 도메인이 연결이 되는 것이다.